2025. 3. 1. 16:38ㆍ일상생각,박학
하이퍼스케일러(Hyperscaler)는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운영하는 기업을 의미한다.
즉, 데이터 센터를 대량으로 구축하고, AI·클라우드·빅데이터 서비스 등을 글로벌 규모로 제공하는 회사들
**하이퍼스케일러의 주요 특징
✅ 1) 대규모 데이터 센터 운영
• 전 세계적으로 수백~수천 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
• 데이터 저장, 처리, 분석 등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
✅ 2) 탄력적인 확장성(Scalability)
• 사용자의 요청이 급증해도 자동으로 서버와 네트워크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음
• 예를 들어, 넷플릭스 같은 OTT 서비스가 갑자기 트래픽이 증가해도 문제없이 대응 가능
✅ 3)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
•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→ 가상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
• PaaS (Platform as a Service) →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제공
• SaaS (Software as a Service) → 구글 드라이브, MS Office 365 등
✅ 4) AI·빅데이터·IoT·5G 등 차세대 기술과 결합
• AI 모델 학습, 데이터 분석, 자율주행,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됨
**하이퍼스케일러의 역할과 영향력
🚀 1) IT 인프라 비용 절감
• 기업들이 자체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 하이퍼스케일러의 클라우드를 이용해 비용 절감 가능
🌍 2) 글로벌 서비스 운영 가능
• 스타트업이나 기업이 전 세계 어디서든 빠르게 서비스 확장 가능
• 예: 글로벌 게임 회사가 하이퍼스케일러의 클라우드를 활용해 해외 서버 운영
🧠 3) AI·빅데이터·메타버스 발전의 핵심
• AI 모델 학습, 빅데이터 분석, 자율주행, 스마트 시티 등 미래 기술의 기반 제공
'일상생각,박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『5G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, 모바일 엣지 컴퓨팅(MEC)의 모든 것』 (1) | 2025.03.10 |
---|---|
📊 데이터 중앙집중화 현상 – 영향 (0) | 2025.03.02 |
스마트도시 인프라를 구축할 때 중요한 요소들을 정리 (0) | 2025.02.27 |
Humanoid Robot Sensors (0) | 2025.02.23 |
본질 (0) | 2025.02.20 |